1,500년 전 모습 그대로 금동신발이 되살아났다.

지난 2014년 12월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됐던 금동신발이 현대의 최첨단 기술과 전통 공예기술을 접목하여 복원되었다.

▲ (자료출처:문화재청) 나주 정촌고분 모습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1호 돌방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은 현재까지 발견된 금동신발 유물 중에서 가장 화려하고 완벽한 형태를 갖춰 처음 공개될 당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최초 발견부터 보존처리가 완료되기까지 1년여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 과정에서 금동신발의 재료학적 특징과 제작기법을 밝히기 위해 3차원 입체 스캔, 엑스선과 CT 촬영 등 최첨단 기법이 동원되었다.

▲ (자료출처:문화재청) 나주 정촌고분 1호 돌방 유물 출토 모습

분석결과, 금동신발의 몸판은 두께 0.5mm의 구리판에 5~10㎛(1㎛=1/1,000mm) 두께로 순금(99%)을 입혀 만들었음을 알아냈다. 발등 부분의 용머리 장식을 비롯하여 금동신발 바닥과 옆판에서 발견된 다양한 문양(연꽃, 도깨비, 새 문양 등)은 백제의 전통적인 금속공예기법 중에서도 난이도가 매우 높은 투조기법(透彫技法)과 축조기법(蹴彫技法)이 사용되었다는 것도 밝혀냈다.

▲ (자료출처:문화재청) 나주 정촌고분 1호 돌방 금동신발 출토 모습

복원품은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3차원 입체 스캔 등 정밀 계측 자료를 통한 설계도면 작성 → 용머리 장식, 양 옆판과 바닥판, 고정못, 스파이크(바닥 장식용 구리못) 등 부속품 제작 → 문양 표현 → 수은 아말감 도금 → 조립’의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다.

▲ (자료출처:문화재청) 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

특히, 수은과 금가루를 혼합하여 금속 표면에 바른 다음, 365도 이상의 열을 가해 금가루가 금속 표면에 붙을 수 있게 수은이 접착제 역할을 하는 전통 도금기술인 수은 아말감 기법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참고로, 이번 복원품은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전시실에서 일반 시민들에게 공개되고 있다. 

▲ (자료출처:문화재청) 복원된 금동신발

한편,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금동신발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계발을 위해 주요 문양을 국유특허로 등록(30-2015-0053241 등 8건) 한 바 있다. 아울러, 금동신발을 비롯한 지역 문화재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지난 달 29일 동신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금동신발이 지닌 역사 문화적 가치를 지역 사회와 함께 찾아가는 작업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바끄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