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 전, 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 내부 파리 번데기 껍질의 법의곤충학적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법의곤충학적 분석연구를 통해 1,500년 전에 이른바 ‘빈(殯)’이라는 장례 절차의 존재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했다.

파리 번데기 껍질은 정촌고분 1호 돌방(石室)에서 출토된 금동신발 내부의 흙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무덤 주인의 발뒤꿈치 뼛조각과 함께 십여 개체가 발견되었다. 파리 번데기 껍질의 법의곤충학적 분석은 무덤 주인공이 사망한 후 외부 장례절차[빈(殯)]의 존재 가능성, 사망 시점, 1,500년 전과 현재의 기후변화 여부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 (자료출처:문화재청) 고분 속 주인공 유골(발뼈)에서 흡착된 파리 번데기 껍질

정촌고분 1호 돌방과 같은 조건(빛 차단, 평균 온도 16℃, 습도 90%)에서 파리의 알, 구더기, 번데기 중 어떤 상태일 때 성충이 되는지를 실험한 결과, 번데기 상태일 때만 성충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통상 알에서 번데기가 되기까지 평균 6.5일이 걸리는 사실을 고려할 때 정촌고분 1호 돌방의 주인공은 무덤 밖에서 일정기간 장례 절차를 거친 후에 무덤 안으로 들어갔음을 알 수 있다.

파리 번데기 껍질은 ‘검정뺨금파리’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정촌고분 주변에서도 서식하고 있으므로 기후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주 활동기간은 5~11월로 정촌고분 1호 돌방의 주인공도 이 기간에 사망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 (자료출처:문화재청) 파리 번데기 껍질을 현미경으로 본 모습

이번 연구는 1,500년 전 파리 번데기 껍질의 법의곤충학적 분석을 통해 삼국시대 장례 문화를 파악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올해에는 법의학 전문가와의 적극적인 협업으로 파리 번데기 껍질과 함께 출토된 고인골의 신체특성을 분석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무덤 주인공의 사망 원인과 나이, 식습관, 신체 크기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고대 영산강유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어떠한 모습이었고, 장례문화는 어땠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연구가 삼국시대 영산강유역의 장례문화를 밝힐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학제간 연구교류를 통해 삼국시대 호남지역의 생생한 문화상을 복원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바끄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