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서울시내에서도 심심하지 않게 추석연휴를 보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서울 도심 곳곳에서 즐길 수 있는 전통문화 체험, 민속놀이,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함께 재미있는 추석연휴를 보내보자.

서울시내 주요 시설에서는 명절 세시풍속과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행사가 진행된다. 서울돈화문국악당의 ▲추석 놀:음, 꿈의숲아트센터의 ▲한가위맞이 희희낙락 <아는 노래뎐> 등 공연 프로그램과 한성백제박물관의 ▲한가위 박물관 큰잔치, 서울역사박물관과 함께하는 ▲한가위 한마당, 남산골한옥마을의 ▲남산골 추석 모듬, 시민청 ▲추석맞이 기념행사 등 명절 특별행사에 주목해보자.

한옥에서 전통음악을 만날 수 있는 ‘서울돈화문국악당’에서는 10월 4일(수), 명절 특별프로그램 <추석 놀:음>을 진행한다. 창작소리그룹 ‘가가호호(歌歌好好)’의 전통음악과 전통놀이 투호, 한복 입어보기, 우리떡 연구가 김재규 명장과 함께 하는 송편 빚기 등을 고즈넉한 한옥에서 즐길 수 있다. ‘꿈의숲아트센터’에서도 팝, 가요를 새롭게 해석한 젊은 소리꾼들의 색다른 음악으로 신나는 추석을 보낼 수 있는 <한가위 맞이 희희낙락 ‘아는 노래뎐’>이 10월 6일(금) 무대에 오르는데, 한복을 입고 공연장을 방문하면 반값에 공연 관람이 가능하다. 

▲ (자료출처:서울시) ‘추석’을 맞아 진행되는 다양한 문화행사 행사 포스터

도심에서 역사와 문화를 함께 만날 수 있는 박물관에서도 추석맞이 행사가 펼쳐진다. ‘한성백제박물관’은 10월 5일(목)~7일(토) 3일간, <한가위 박물관 큰잔치>를 열어 풍물놀이부터 백제 문양 목판 찍기, 수막새 목걸이 만들기, 백제 역사 윷놀이판 만들기 등 3가지의 백제 공예 체험과 윷놀이, 팽이치기, 투호, 제기차기 등 4종의 전통 민속놀이까지 잊혀져가는 한가위 전통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도 10월 5일(목) 하루 동안, 온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한가위 한마당>을 진행한다. ‘평양예술단’의 북한민속공연과 한가위 전통민속놀이 ‘거북놀이’, 판굿 등 공연마당, 추억의 놀이 5종과 조선시대 왕과 왕비 의상 체험 등 놀이마당, 사물놀이 ‘별달걸이’ 배우기와 떡메치기 등 전통 먹거리 체험, 솟대 만들기 외 4종의 전통공예체험 등 체험마당이 마련된다. 이 외에도 보름달이 그려진 포토 월에서 사진을 찍거나 추석이미지를 그려주는 페이스페인팅에도 참여하여 추석을 한껏 느껴볼 것을 추천한다.

서울시내에서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 ‘남산골한옥마을’에서는 온가족이 추석 음식을 준비하고, 차례를 지내는 풍습과 추석 교유의 놀이 등 세시풍속을 체험할 수 있는 <남산골 추석 모듬>을 개최한다. 10월 3일(화)~5일(목) 3일간, 공연 및 전통장터를 재현한 한가위 장터부터 5가지 명절음식 체험, 비석치기·땅따먹기 등 20여종의 전통놀이 체험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였다. 또한, 4일(수)에는 대형 차례상을 차려 방문객들과 다함께 차례를 지내고 음식을 나눠먹을 예정이며, 5일(목)에는 ‘추석 전 페스티벌’을 열어 15여종의 전과 10여종의 막걸리를 나눠먹으며 한가위 분위기를 제대로 느껴보고자 한다.

시민들을 위해 상설로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시민청’에서도 10월 5일(목)~8일(일), <시민청 추석맞이 기념행사>가 열린다. 시민청 예술가들의 활력콘서트와 민속놀이 체험행사가 진행되니, 가벼운 마음으로 들러 공연과 체험을 즐겨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오랜만에 찾아온 기나긴 추석연휴를 맞아 서울시내 공연장과 문화시설에서도 남녀노소 온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공연들이 무대에 오른다. 세종문화회관, 돈화문국악당, 삼청각 등 공연장은 물론, 꿈의숲공원과 역사박물관에서도 연휴기간 동안 무료로 고품격 공연을 즐길 수 있다.

서울시내에 위치한 미술관에서 진행되는 상설전시도 추석연휴에 계속 진행될 예정이지만, 추석연휴에만 만날 수 있거나 이번 연휴에 새롭게 시작되는 전시를 관람해 보는 것도 좋은 추억이 될 것이다.

이 밖에 180여개의 다양한 10월의 문화예술프로그램 일정 및 세부내용은 서울문화포털과 각 해당기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거나, 120 다산콜센터에 문의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바끄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