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안전지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도, 그 다음 서울이다. 그리고, 안전지수가 낮은 지역은 부산 동구와 전북 김제 순이다.

행정안전부가 2017년 전국 시·도 및 시·군·구별 7개 분야 지역안전지수를 공개했다.

올 해는 2015년에 지역안전지수를 처음 공개한 이후 3년차인 만큼 각 자치단체의 분야별 안전수준이 얼마나 개선되고 있는지 추세를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자료출처:경기도 누리집

먼저, 광역자치단체의 특징을 살펴보면,

7개 분야 중 2개 분야 이상 1등급을 받은 곳은 경기(5개 분야), 세종(3개 분야), 서울(2개 분야)이고, 2개 분야 이상 5등급을 받은 곳은 세종(3개 분야), 부산(2개 분야)이다. 경기는 교통사고·생활안전·자살·감염병, 서울은 교통사고, 세종은 범죄와 자살 분야에서 3년 연속 1등급을 유지했다. 반면 부산은 자살, 세종은 교통사고와 화재, 전남은 교통사고, 제주는 범죄와 생활안전 분야에서 3년 연속 5등급에 머물렀다. 세종의 경우 자연재해(3등급)를 제외한 6개 분야가 1등급 아니면 5등급으로 다른 광역자치단체 대비 극단적인 특징을 보였다. 이는 정부부처·공공기관 등 이전기관 종사자 중심의 인구증가로 자살·감염병·범죄 분야는 1등급을, 인프라 조성이 진행 중인 교통사고·화재·생활안전 분야는 5등급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가장 많은 분야에서 등급이 개선된 지역은 특·광역시 지역의 경우 서울(생활안전, 자살 등 2개 분야)과 인천(화재, 감염병 등 2개 분야), 도 지역의 경우 제주(화재, 자연재해 등 2개 분야)이다. 대부분 분야별로 1등급의 등락을 보였으나 2등급의 등락을 보인 지역들도 있었다. 부산은 자연재해 분야에서 2등급(5→3) 상승한 반면 울산은 2등급(3→5) 하락했다. 전북은 화재 분야에서 2등급(2→4) 하락했다. 광주는 범죄, 전남은 자연재해 분야에서 ’15~’17년 3년간 5→4→3등급으로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 (자료출처:행정안전부) 3년간 분야별 1등급 유지 지역

다음으로 기초자치단체의 특징을 살펴 보면,

7개 분야 중 2개 분야 이상 1등급을 받은 곳은 36개 지역(시 12, 군 12, 구 12)이고, 2개 분야 이상 5등급을 받은 곳은 39개 지역(시 13, 군 15, 구 11)이다. 분야별로 3년 연속 1등급을 유지한 지역들도 있었다. 교통사고 분야(16개 지역)에서 가장 많았고 화재 분야(9개 지역)에서 가장 적었다. 3년 연속 5등급에 머문 지역은 범죄 분야(16개 지역)에서 가장 많았고 자연재해 분야(1개 지역)에서 가장 적었다. 화재 분야의 군 지역, 자연재해 분야의 군·구 지역, 자살 분야의 군 지역에서는 3년간 5등급을 유지한 지역이 없었다.

가장 많은 분야에서 등급이 개선된 지역은 시 지역에서는 경기 동두천시(3개 분야)와 경남 사천시(3개 분야), 군 지역에서는 충북 옥천군(4개 분야), 구 지역에서는 부산 강서구(3개 분야)와 광주 서구(3개 분야)이다. 자연재해 분야에서는 대구 남구가 ’16년 대비 4등급(5→1) 상승한 반면 울산 남구는 4등급(1→5) 하락했고, 자살 분야에서 인천 옹진군이 4등급(1→5) 하락했다.

▲ (자료출처:행정안전부) 3년간 분야별 5등급 유지 지역

행정안전부는 2018년 소방안전교부세의 5%를 이번에 공개하는 지역안전지수와 연계하여 교부할 예정이다. 그 중 3%는 지역안전지수가 낮은 지역일수록, 2%는 전년 대비 등급 개선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더 많이 배정하여 안전인프라가 취약한 지역과 개선 노력을 기울인 지역을 모두 배려할 계획이다.

한편, 국민들은 행정안전부와 생활안전지도 누리집에서 전국 자치단체의 분야별 안전등급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자치단체는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서 각종 안전 관련 통계들을 검색하여 안전수준 진단·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바끄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