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까지 집계된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778,544명으로 지난 ’16년 말(51,696,216명)에 비해 82,328명(0.16%) 늘었으나, 증가폭은 해마자 줄어 들고 있다.

지난 1년간 시·군·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경기 화성(50,196명)이고, 대구 달서(△13,823명)는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7년 말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778,544명이고, 여자는 25,922,625명(50.1%), 남자는 25,855,919명(49.9%)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66,706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등록 인구 중에서 거주자는 51,276,314명(99.03%), 거주불명자는 444,643명(0.86%), 재외국민은 57,587명(0.11%)이다. 주민등록 세대수는 21,632,851세대로, 지난 ’16년 21,294,009세대보다 338,842세대가 증가했다. 세대당 인구는 2.39명이다.

’17년 지난 한해 지역별 주민등록 인구변동을 살펴보면, 시·도에서 ’16년 말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경기(157,115명), 세종(37,052명), 충남(20,043명), 제주(15,486명) 등을 포함한 7곳이고, 서울(△73,190명), 부산(△27,876명), 대전(△12,143명), 전북(△10,184명), 대구(△9,326명), 경북(△8,692명) 등 10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시·군·구에서 ’16년 말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경기 화성(50,196명), 김포(28,649명), 대구 달성(25,107명) 등을 포함한 77곳이다.

경기 용인은 1년간 12,955명이 늘어 1,004,081명으로, 9월말 기준 인구 100만 시가 되었다. 시·군·구에서는 수원, 창원, 고양에 이어 4번째다. 대구 달서(△13,823명), 서울 노원(△13,178명), 경기 안산(△12,149명), 서울 강남(△10,951명), 인천 부평(△9,775명), 경기 안양(△9,650명) 등을 포함한 149개 시·군·구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지난 10년간(’08년~’17년) 주민등록 인구변동 요인을 자연적 인구 증감(출생-사망)과 사회적 인구 이동(전입-전출) 중심으로 살펴보면, 시·도에서 ’08년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 중 경기(1,581,631명), 인천(255,846명), 세종(188,574명), 충남(182,186명), 경남(155,149명) 등을 포함한 8곳은 자연적 인구 증가와 타시도로부터 순유입이 많았다.

울산(52,725명), 광주(41,068명), 대전(21,332명), 경북(17,775명) 4개 시·도는 전체 주민등록 인구는 ’08년보다 증가하였으나 지난 10년간 타시도로 순유출이 많았다.

시·도에서 ’08년보다 인구가 감소한 서울(△343,401명), 부산(△93,924명), 대구(△17,493명), 전북(△1,165명) 4개 지역은 타시도로의 순유출이 많았고, 전남(△22,576명)은 자연적 인구 감소와 순유출이 많았다.

▲ 자료출처:행정안전부

’17년 말 주민등록 인구를 연령대 및 연령계층별 분포를 보면, 연령대별 분포는 40대(16.8%)와 50대(16.4%)가 많았다.

30대 14.2%, 20대 13.2%, 60대 10.9%, 10대 10.2% 순이며, 이와 함께 70대 이상은 9.6%, 10대 미만은 8.6%이다.

0세에서 14세 인구는 6,785,965명으로 전체 인구의 13.1%이며, ’16년 말 6,916,147명에 비해 130,182명(0.3%p) 감소했다.

15세에서 64세 인구는 37,636,473명으로 전체 인구의 72.7%이며, ’16년 말 37,784,417명에 비해 147,944명(0.4%p) 감소했다.

65세 이상 인구는 7,356,106명으로 전체 인구의 14.2%이며, ’16년 말 6,995,652명에 비해 360,454명(0.7%p) 증가했다.

’08년부터 ’17년까지 지난 10년간 연령계층별 분포 변화를 보면, 0세에서 14세 비율은 ’08년(17.2%) 이후 매년 감소하였다.

15세에서 64세 비율은 ’08년(72.6%) 이후 73%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65세 이상 비율은 ’08년(10.2%) 이후 매년 증가하여 ’16년 이후 65세 이상 비율이(13.5%) 0~14세 비율(13.4%)보다 많아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바끄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