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국왕이 일본으로 보낸 외교사절인 '조선통신사'가 부산에서 일본으로 가고 올때 사용했던 조선통신사선을 재현하는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전남 영암 대불공단 내 제작현장에서 지난해 6월부터 만들고 있는 조선통신사선 재현선의 기본 틀인 ‘멍에’를 올리고, 진수까지의 안전을 기원하는 상량식을 오는 22일 오후 2시에 개최한다.

▲ (자료출처:문화재청) 제작 중인 조선통신사선 재현선

상량식은 배 제작의 첫 시작을 알리는 배짓기 고사, 완성해서 물에 띄우는 진수식과 함께 배 만드는 과정에서 치르는 대표적인 3대 의식 중 하나이다. 신에게 안전가호 속에 제작이 잘 진행된 것에 대한 감사를 드리고, 앞으로 남은 진수식까지의 안전을 기원하는 내용으로, 참여한 목수 등 제작 관계자의 노고를 위로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이번 조선통신사선 재현선의 상량식은 바다를 관장하는 사해용왕께 올리는 불제(祓除, 재앙을 물리침)를 시작으로 상량문 낭독,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초헌(初獻)과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아헌(亞獻), 철상(撤床) 후 마지막으로 멍에를 올리는 상량의식으로 마무리한다.

▲ (자료출처:문화재청) 제작 중인 조선통신사선 재현선

조선통신사선은 1607~1811년까지 약 200여 년간 12차례에 걸쳐 일본으로 간 조선왕조 사절단 ‘조선통신사’들을 태우고자 국가에서 제작‧운영했던 배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당시 사행의 기록과 2015년 4월부터 발굴조사한 조선 시대 조운선(마도4호선) 등을 함께 참고해 원형을 설계한 후 지난해 6월 22일 배짓기 고사를 시작으로 실물 크기의 선박 재현을 착수하였다.

재현선 제작을 위해 강원도 삼척과 홍천에서 자생한 70~150년생 금강송(소나무) 900여 그루를 사용하였으며, 현재까지 배 밑 저판(底板, 물에 뜨도록 만든 밑판)과 좌‧우의 외판(外板), 선수(船首)와 선미(船尾) 등을 제작해 약 65%정도 공정을 마친 상태이다. 특히, 멍에는 해발 1,000m 고지대에서 벌채한 금강송(길이 20m, 직경 60㎝) 15그루가 사용되었다.

▲ (자료출처:문화재청) 제작 중인 조선통신사선 재현선

물에 띄우는 진수식은 배가 완공되는 올해 10월경에 추진할 예정이다. 더 자세한 사항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해양유물연구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조선통신사선 재현선이 완성되면 배와 함께 관련 자료 등을 전시하고, 섬과 오지 등을 오가며 재현선을 직접 운항하여 선보이는 ‘찾아가는 박물관’과 승선 체험 프로그램을 열고, 한국과 일본에서 해마다 추진하는 조선통신사 축제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열리는 해양문화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국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바끄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