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면 송이버섯, 능이버섯, 싸리버섯 등이 많이 자라지만 독버섯을 잘 모르고 먹어서 식중독에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최근 5년간(’14~’18년, 합계) 자연독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 36명의 환자가 발생했는데, 9월에 27명(75%)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버섯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는 사고 1건당 환자수가 7.2명으로 가족이나 지인들과 나누어 먹는 경우가 많아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하므로 특히 주의 해야 한다.

▲ (자료출처:국립수목원) 위_ 느타리버섯(식용),환경솔밭버섯(독) 중간_ 큰갓버섯(식용),독흰갈대버섯(독) 아래_ 개암버섯(식용),노란개암버섯(독)

우리나라에는 약 1,900여 종의 버섯이 자생하지만 이 중 식용 가능한 버섯은 400종(21%) 불과하고, 나머지(79%)는 먹을 수 없는 독버섯이기 때문에 산 속의 버섯 대부분은 먹을 수가 없는 것이다.

▲ (자료출처:식품안전정보원 식중독 통계) 최근 5년간(‘14∼’18)간 자연독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현황

특히 잘못된 민간 속설만 믿고 야생버섯을 섭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니 야생 버섯은 절대 먹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잘못된 민간 속설>

  ▶ 색이 화려하지 않은 버섯은 먹어도 된다.
  ▶ 세로로 잘 찢어지는 버섯은 모두 먹을 수 있다.
  ▶ 은수저 등 은제품을 검게 변색시키지 않는 버섯 요리에는 독이 없다.
  ▶ 벌레나 달팽이가 먹은 흔적이 있는 버섯은 먹을 수 있다.
  ▶ 독버섯은 버섯 대에 띠가 없다.
  ▶ 독버섯이라도 가지나 들기름과 함께 요리하면 독성이 없어진다.
  [출처: 농촌진흥청]

▲ (자료출처:국립수목원) 위_ 노란달걀버섯(식용),개나리광대버섯(독) 중간_ 싸리버섯(식용),붉은싸리버섯(독) 아래_ 곰보버섯(식용),마귀곰보버섯(독)

만약에 버섯을 먹은 후 현기증을 비롯한 구토나 복통, 설사, 환각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이 때 정확한 치료를 위해 먹었던 버섯이나 버섯의 사진이 있으면 가져가면 좋다.

가을철 독버섯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막으려면 야생버섯은 채취하지도 먹지도 않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저작권자 © 바끄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